일주일 5시간씩 3일 근무, 주휴수당 받을 수 있을까?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
첫째, 주휴수당 지급 조건 총정리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, 일주일 동안 총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유급휴일 수당입니다.여기서 중요한 조건은 두 가지입니다.일주일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한다.주 1회 이상의 정기적인 휴일이 보장되어야 한다.일주일에 5시간씩 3일, 즉 총 15시간 근무한 경우 첫 번째 조건은 충족됩니다. 둘째, 주휴수당 산정 방법주휴수당은 법정 근로시간인 하루 8시간분 급여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시급이 10,030원이라면,10,030원 × 8시간 = 80,240원이 금액이 일주일에 추가로 지급되어야 하는 주휴수당입니다. 셋째, 근무일수와 주휴수당 관계근로기준법은 주휴수당 지급을 위해 ‘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’ 외에 ‘주 1회 이상 정기 휴일’이 필요하다..
2025. 6. 15.
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, 왜 꼭 써야 할까? 작성법과 핵심 항목 정리
아르바이트를 할 때 근로계약서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는 말,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.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말로만 계약하고 계약서 없이 일하거나,인터넷에서 아무 양식이나 다운받아 대충 채우는 경우가 흔합니다.이 글에서는근로계약서를 꼭 써야 하는 이유,작성할 때 포함해야 할 필수 항목,실제 작성 팁과 주의사항까지알바생과 고용주 모두에게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. 첫째, 근로계약서는 법으로 정해진 ‘의무’입니다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르면, 고용주는 근로자를 채용할 때임금, 근로시간, 휴일, 유급휴가, 업무 내용 등 기본 근로조건을 서면으로 명시해 주어야 합니다.이는 아르바이트생도 마찬가지입니다.하루만 일해도 근로계약서 작성은 법적 의무입니다.▶ 위반 시 처벌은?고용주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50..
2025. 6. 15.
2025년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
시급 10,030원 시대,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2025년 1월 1일부터 최저임금이 시간당 10,030원으로 인상됐습니다.이는 2024년 시급 9,860원에서 170원(1.7%) 오른 금액으로, 월급으로 환산하면 **2,096,270원(월 209시간 기준)**입니다.이번 인상은 물가 상승률과 고용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되었으며, 저임금 근로자뿐 아니라 아르바이트생, 일용직, 소상공인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. 첫째, 근로자 입장에서의 주요 변화시급 10,030원, 월급 200만 원 시대 돌입2025년부터 법정 근로시간(주 40시간, 월 209시간)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최저 월급은 약 209만 원입니다. 이는 생계비 부담이 큰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주휴수당 포함 시 실질 시..
2025. 6. 15.